Home
기업지원센터
경제 동향 및 전망
중소기업포커스
중소기업포커스
중소기업연구원에서 발간하는 중소기업 관련 연구 결과물을 제공합니다.
중소기업포커스 목록
No |
제목 |
발간일 |
작성자 |
2 |
[제20-05호] 스케일업 촉진을 위한 벤처대출(Venture Debt)도입 방안
목차
- 1. 문제제기
- 2. 벤처대출 개요 및 특징
- 3. 미국 벤처대출시장 작동원리
- 4. 벤처대출 선호도 조사 및 시사점
- 5. 정책자금을 활용한 벤처대출 도입 방안
요약
-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 정부에서 벤처기업의 고성장, 이른바 스케일업(scale-up)활성화는 중요한 정책방향이 되었으며 스케일업 촉진을 위한 자금공급은 필수적임
- 우리나라 벤처시장에서 신규투자금액 등 전반적인 양적지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나, 주요국에 비해 스케일업 단계의 중·후기투자는 부족함
- 부채성 자금인 Venture Debt(벤처대출)은 벤처캐피탈로부터 지분 투자를 받은 벤처기업에게 제공되는 모든 대출형태를 의미하며 미국의 벤처 대출시장이 가장 발달함
- 벤처대출시장의 발달은 미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스케일업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임
- 벤처대출의 주요 특징은 1)후속투자 가능성에 따른 대출결정, 2)벤처캐피탈의 지분투자와 동시 또는 직후 실행, 3)대출기관의 소액의 워런트(Warrant) 취득임
- 벤처대출시장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주요 주체인 벤처기업, 은행, 벤처캐피탈의 참여가 필요하며, 최근 연구들을 바탕으로 분석한 미국 벤처대출시장에서의 각 주체별 참여유인은 다음과 같음
- 벤처대출시장 작동원리를 바탕으로 국내 벤처기업, 은행, 벤처캐피탈의 도입의향을 조사한 결과, 벤처대출 수요가 있음
- 벤처캐피탈과 은행권1)의 협업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자금 (모태펀드와 정책 보증기관)의 활용을 통한 벤처대출 도입, 즉 “벤처대출 전용펀드”와 “후속투자 협업형 보증”, 이 필요함
작성자 : 중소기업연구원 ( 2020-03-23 )
|
2020-03-23 |
중소기업연구원 |
1 |
[제20-04호]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 연착륙을 위한 실행방안
목차
- 1. 서론
- 2.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현황
- 3.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부 정책 현황
- 4.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정책 실행방안
요약
-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의 등장과 생산·소비·유통시스템의 재편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시대적 프레임이 격변
- 국내 소상공인 사업체는 300만개를 넘을 정도로 국민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영세화 및 경쟁 심화로 생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
- 2015~2017년 기준으로 소상공인 주요 업종인 제조업, 도소매업, 숙박음식점업의 클라우드컴퓨팅, 빅데이터, 사물인터넷(IoT), 인공지능, 3D프린팅 등 신기술 활용 비중은 미세한 증가세이나 여전히 미미한 수준
- 소상공인은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의식 및 행동 수준에 있어 부정적
-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지원 정책의 실행방안을 제언
작성자 : 중소기업연구원 ( 2020-03-09 )
|
2020-03-09 |
중소기업연구원 |
1 2 3 4 5 6 7 8
[제21-13호]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위상 진단과 정책방향미리보기